Skip to content
플러스 이비인후과 플러스 이비인후과
  • 병원소개
    • 병원소개
    • 의료진소개
    • 진료시간 안내
    • 병원둘러보기
    • 찾아오시는 길
  • 코질환
    • 알레르기비염
    • 만성 비염
    • 코막힘
    • 부비동염
    • 비부비동 종양
    • 비용종
    • 비중격 만곡
    • 비인두 종양
    • 수면 무호흡증
    • 휜코/코뼈골절
    • 후각장애, 미각장애
    • 후비루
    • 비출혈
    • 편도의 비대
  • 목질환
    • 상기도 감염 (감기)
    • 인후두염
    • 역류염 인후두염
    • 기침/만성기침
    • 천식
    • 쉰목소리
    • 편도선염
    • 편도결석
    • 급성 기관지염
    • 만성 기관지염
    • 성대와 후두 결절
    • 성대와 후두 용종
    • 이물질에 의한 기도 막힘
    • 구내염
    • 후두암
  • 귀질환
    • 중이염
    • 만성 중이염
    • 외이도염
    • 이석증
    • 이명
    • 어지럼증
    • 메니에르병
    • 미로염
    • 고막 천공
    • 난청
    • 전정신경염
    • 안면신경마비
  • 소아이비인후과
    • 소아중이염
    • 소아비염/소아축농증
    • 소아천식
    • 유소아난청
    • 소아 편도 및 아데노이드 수술
    • 유행성 이하선염
    • 설소대 단축증
  • 알레르기
  • 예방접종
  • 정밀검사센터
  • 영양수액센터
    • 병원소개
    •  병원소개
    •  의료진소개
    •  진료시간 안내
    •  찾아오시는 길
    • 코질환
    • 목질환
    • 귀질환
    • 소아이비인후과
    • 알레르기
    • 예방접종
    • 정밀검사센터
    • 영양수액센터
    • 공지사항
플러스 이비인후과 플러스 이비인후과
  • 병원소개
    • 병원소개
    • 의료진소개
    • 진료시간 안내
    • 병원둘러보기
    • 찾아오시는 길
  • 코질환
    • 알레르기비염
    • 만성 비염
    • 코막힘
    • 부비동염
    • 비부비동 종양
    • 비용종
    • 비중격 만곡
    • 비인두 종양
    • 수면 무호흡증
    • 휜코/코뼈골절
    • 후각장애, 미각장애
    • 후비루
    • 비출혈
    • 편도의 비대
  • 목질환
    • 상기도 감염 (감기)
    • 인후두염
    • 역류염 인후두염
    • 기침/만성기침
    • 천식
    • 쉰목소리
    • 편도선염
    • 편도결석
    • 급성 기관지염
    • 만성 기관지염
    • 성대와 후두 결절
    • 성대와 후두 용종
    • 이물질에 의한 기도 막힘
    • 구내염
    • 후두암
  • 귀질환
    • 중이염
    • 만성 중이염
    • 외이도염
    • 이석증
    • 이명
    • 어지럼증
    • 메니에르병
    • 미로염
    • 고막 천공
    • 난청
    • 전정신경염
    • 안면신경마비
  • 소아이비인후과
    • 소아중이염
    • 소아비염/소아축농증
    • 소아천식
    • 유소아난청
    • 소아 편도 및 아데노이드 수술
    • 유행성 이하선염
    • 설소대 단축증
  • 알레르기
  • 예방접종
  • 정밀검사센터
  • 영양수액센터
    • 병원소개
    •  병원소개
    •  의료진소개
    •  진료시간 안내
    •  찾아오시는 길
    • 코질환
    • 목질환
    • 귀질환
    • 소아이비인후과
    • 알레르기
    • 예방접종
    • 정밀검사센터
    • 영양수액센터
    • 공지사항

1. 국가 표준 예방접종 일정표

← → 화면을 좌우 옆으로 넘겨 보세요.
대상 감염병 24~35개월 4세 6세 11세 12세 19~29세 30~39세 40~49세 50~64세 65세 이상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Dtap 5차 Tdap/Td 6차 처음 1회 Tdap; 이후 10년마다 TD 1회 처음 1회 Tdap; 6개월 후 Td; 이후 10년마다 Td 1회
(Tdap은 65세 이하에서만 사용)
폴리오 IPV 4차
폐렴구균 감염증 고위험군에 한하여 접종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MMR 2차
일본뇌염 LJEV
3차
LJEV
4차
LJEV
5차
LJEV
2차
인플루엔자 IIV 매년 접종 매년 1회 매년 1회
A형간염 2회(0,6개월) 항체 검사 후 접종(0,6개월) 위험군가)에 대해 항체 검사 후 접종(0,6개월)
B형간염 3회 접종이 불확실할 때 항체 검사 후 접종
위험군나)에 대해 3회 접종이 불확실 할 때 항체 검사 후 접종(0,6개월)
홍역
볼거리
풍진
위험군다)에 대해 최소 1회 접종
임신 계획 여성에서 풍진 항체 검사
수두 위험군라)에 대해 최소 1회 접종
임신 계획 여성에서 풍진 항체 검사
수막알균 위험군마)에 대해 1회 또는 2회
폐렴사슬알균 위험군바)에 대해 1회 1회
대상포진 1회 1회
모든사람
위험군

· Tdap, 성인용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Td, 성인용 파상풍-디프테리아
· 0~15세는 대한소아과학회 권장에 따름
· 16~18세는 달리 권고가 없으면 19~29세 권장을 따름 (A형 간염 백신은 소아 용량 사용)

가) A형 간염

위험군 : 만성간질환자, 어린이들을 돌보는 시설에 근무하는 사람, A형간염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의료진 및 실험실 종사자, 음식물을 다루는 요식업체 종사자, A형간염 유행지역으로 여행 또는 근무 예정인 경우, 혈액제재를 자주 투여받는 경우, 남성동성애자, 주사약물남용자, 최근 2주 이내에 A형 간염 환자와 접촉한 경우

나) B형 간염

위험군 : 남성동성애자, 성관계자가 여러명인 사람, HIV 감염인, 주사약물남용자, HBV 소유자의 배우자나 가족 등 친밀한 접촉을 갖는 사람, 만성 신부전 환자, 만성 간질환 환자, 직업적으로 HBV 노출위험이 많은 사람, 단체생활을 하는 지체 장애인과 이들을 보호하는 직원

다) 홍역-볼거리-풍진

위험군은 예방접종을 함. 항체 검사(특히 홍역에 대한)를 할 수는 있 으나 검사 없이 접종하는 것도 비용 면에서 경제적임.
위험군 : 의료인(항체 검사 필요, 2회 접종), 개발도상국 여행자, 면역저하 환자를 돌보는 가족, 단체 생활을 할 성인

라) 수두

위험군에게 우선적으로 항체 검사 후 예방접
위험군 : 의료인, 면역저하 환자의 보호자, 학교나 유아원 교사, 학생, 군인, 교도소 재소 자, 임신을 계획하는 여성,어린이와 함께 사는 청소년이나 어른, 해외여행자

마) 수막알균

위험군 :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무비증 , 보체 결핍 환자 , 군인(특히 신병), 직업적으로 수막알균에 노출되는 실험실 근무자 , 수막알균 감염병이 유행하는 지역에서 현지인과 밀접한 접촉이 예상되는 여행자 또는 체류자, 기숙사 생활을 할 대학교 신입생
·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무비증, 보체 결핍, HIV 감염인에서 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위험이 지속되면 5년 후 단백결합 백신으로 재접종

바) 폐렴사슬알균

위험군 : 만성 폐질환(천식 포함), 만성 심장질환, 당뇨병, 만성 간질환, 만성신부전, 신증후군 , 기능적·해부학적 무비증 , 면역저하자 (선천성 면역저하, HIV 감염, 백혈병, 림프종, 호지킨병, 다발성골수종, 기타 종양질환, 고형 장기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게는 결합 백신 3~4회 접종), 장기간의 고용량 코르 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한 면역억제제 투여자 , 인공와우를 삽입한 환자
· 65세 이전에 접종하였으나 이미 5년 이상 경과하였고 65세가 넘었다면 재접종 고려 5년 후 재접종

2. 질환(상황)에 따른 성인 예방 접종 권장

만성
간질환
만성
신질환
만성
폐질환
만성 심혈
질환
당뇨병 항암 치료 중인
고형암
임신부 군 입대자
인플루엔자  
폐렴사슬알균  
Td/Tdap  
A형 간염  
B형 간염  
수두  
MMR  
대상포진  
Hib  
질환(상황)에 따라 필요성이 강조되는 백신
금하여야 하는 백신
일반적인 권고기준에 따라 접종하는 백신
고려할 필요가 없는 백신

가) 간이식 환자에서는 A형 간염 백신이 필요함
나) 이식한 지 24개월을 초과했고, 이식편대숙주반응이 없는 경우 에는 접종을 고려할 수 있음

질환(상황)에 따라 필요성이 강조되는 백신
금하여야 하는 백신
일반적인 권고기준에 따라 접종하는 백신
고려할 필요가 없는 백신

가) 간이식 환자에서는 A형 간염 백신이 필요함
나) 이식한 지 24개월을 초과했고, 이식편대숙주반응이 없는 경우 에는 접종을 고려할 수 있음

3. 해외여행자에게 권장하는 성인예방접종

백신 종류 백신이 필요한 지역 고위험 여행의 특징 기타 참고 사항
** 입국에 필요하므로 투여하는 예방 접종
황열 아프리카와 중남미의 황열 발 생 지역 중 황열 백신 증명서를 요구하는 국가 도착 10일 전까지 국립중앙의 료원이나 검역소로 의뢰 1회, 10년마다 재접종
수막알균 사우디아라비아 성지순례 도착 10일 전까지 1회, 결합백신은 5년 마다 재접종
** 개발도상국 여행 시 일반적으로 필요한 예방접종
A형간염 개발도상국 모든 지역 면역이 없는 모든 여행객 (특히 30세 이하) 2회(0, 6~12개월)
장티푸스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네 팔, 인도네시아, 필리핀, 파푸아 뉴기니 2주 이상 여행하거나 시골을 여행하는 사람 1회, 2년마다 재접종
수두 개발도상국 모든 국가 면역이 없는 일부 30대 이하 여행객 항체 검사 필요; 2회(0, 1~2개월)
홍역-풍진-볼거리 개발도상국 모든 국가 면역이 없는 일부 20~30대 여행객 항체 검사 불필요; 1회
광견병 남아메리카, 멕시코, 아시아 동물 연구, 1개월 이상 시골을 여행하거나 봉사활동 3회
황열 아프리카와 중남미의 황열 발생 지역 정글 탐험가 1회, 국립보건연구원 이나 검역소에 의뢰
폴리오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스탄, 나이지리아를 포함한 아프리카 40세 이하 성인, 시골 여행 1회
인플루엔자 남반구 여름에 여행하는 인플루엔자 고위험군 1회
** 통상의 관광 여행이 아닌 경우 추가되는 예방접종
진드기 매개 뇌염 러시아, 동유럽 삼림에서 여름에 활동시 국내에 백신 없음
콜레라 난민 보호소에서 봉사활동을 할 경우 경구 불활화 백신(듀코랄)이 선호됨
** 여행을 계기로 면역 상태를 검사하거나 투여하는 예방접종
표준 예방접종표 참조

이 권장표와 변경 사항은 대한감염학회 웹사이트(www.ksid.or.kr)에서 볼 수 있습니다.

플러스이비인후과
|
병원소개
|
의료진소개
|
진료시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예방접종
|
정밀검사센터
|
영양수액센터
|
공지사항
|
병원소개
|
의료진소개
|
진료시간안내
|
찾아오시는길

예방접종
|
정밀검사센터
|
영양수액센터
|
공지사항
대표전화 : 041-565-1213      
플러스 이비인후과 대표원장 : 김동욱      사업자등록번호 : 312-32-20405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두정동 1503 천안노동복지회관 1층 본관 / 별관
COPYRIGHT 2004. PLUS ENT CLINIC ALL RIGHTS RESERVED.
대표전화 : 041-565-1213
플러스 이비인후과 대표원장 : 김동욱     
사업자등록번호 : 312-32-20405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두정동 1503
천안노동복지회관 1층 본관 / 별관

COPYRIGHT 2004.
PLUS ENT CLINIC ALL RIGHTS RESERVED.